
프랑스 수능, 오늘 Baccalauréat 시험 개시
2019년 바깔로레아 (Baccalauréat)가 6월 17일 오늘부로 막을 열었습니다. 오늘 아침 PDF 를 출력하러 Office Depot 를 가니 대학생은 물론 각종 학생들이 준비한 프레젠테이션을 뽑으려 줄을 길게 서있어 30분 이상 기다려야 했지요 (그래서 정작 제 시험에 늦을뻔...)
시험에서 학생들이 가장 먼저 치루게 되는 과목은 철학입니다. 인문계, 자연계, 경제사회계로 나뉘어져 시험을 보는데 철학이 필수인 점은 프랑스 교육의 독특한 특징으로 볼 수 있죠. 프랑스 국민이라면 누구나 관심을 가지는 그 해 철학 기출 문제는 시험이 끝난 후 모두의 토론장이 되곤 합니다. 이유로는 수준이 굉장히 높은데다 누구나 살면서 한번쯤은 생각했을 법한 주제가 출제되기 때문입니다.
며칠동안 계속 시험을 치는데, 철학을 시험 첫날 치르는 이유 중 하나는 채점 시간이 오래 걸려서 (ㅋㅋ) 라고 하네요. 바칼로레아에서 50%이상의 점수를 받는 모든 학생에게 일반적인 국공립 대학 입학 자격이 주어지며, 시험 기준은 절대평가입니다. 공식 명칭은 바깔로레아 지만 줄여서 bac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한 해 동안 학생들이 가장 스트레스를 받고 준비를 많이 하는 시험이기도 한데요, 저도 가르쳐본 학생들 대다수 힘들어했던 기억이 나네요. 올해는 준비가 안되어 내년에 치루겠다는 학생도 있었고 예상 외로 점수를 높게 받은 학생도 있었죠. 논술 및 철학 시험을 필수하는 것으로 유명안 이 시험의 올해 주제는 무엇일까 저도 관심이 높습니다. 바깔로레아 시험은 1808년 나플레옹에 의해 시작되어 약 200년에 가까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대학 교수가 아닌 현직 교사들이 문제를 냅니다.
역대 기출 문제
-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행복이 가능한가?
- 우리가 하고 있는 말에는 우리 자신이 의식하고있는 것만이 담기는가?
- 예술 작품은 모두 인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가?
- 우리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만을 진리로 받아들여야 하는가?
- 권리를 수호한다는 것과 이익을 옹호한다는 것은 같은 뜻인가?
- 무엇이 내 안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를 말해 주는가?
- 정의를 위해 폭력은 정당화 되는가?
이와 같은 심도 깊은 문제들이 출시되기로 유명합니다. 물론 모든 학생들이 꼭 치루어야 할 시험은 아닐 뿐더러, 프랑스에서 대학진학은 수 많은 진로 중 하나일 뿐입니다. 게다가 프랑스의 대학진학률은 40%가 채 안 된다는 통계가 있죠.
전체 응시인원은(2017년 기준) 718,890명이고 결과는 7월 초순에 발표됩니다. 물론 문제는 결과 발표 전에 배포되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습니다. 부정행위시 5년 간 재응시를 할 수 없고, 대학 등 고등교육 기관에 등록이 불가능 합니다. 지금처럼 스마트폰 외의 전자기기가 발달한 세대에 완벽한 부정행위의 유입을 통제하기란 어려운 부분인 듯 하지만요.
채점은 조정 위원회가 채점이 끝난 뒤, 각자 평균 점수를 비교해 차이가 큰 경우 그 이유를 찾아 조정합니다. 이 때 답안지 몇 개를 공통으로 채점하여 각 채점관이 부여한 점수를 참고해 재검토 한다고 하네요. 전과목 20점 만점에 10점 이상이면 합격인데, 과연 제가 풀었을땐 몇점이 나올지 궁금하기도... (프랑스에서 공교육을 받고 자랐다면 지금은 많이 다른 방향의 생각을 갖고 있겠죠?)
합격률은 약 88% 정도 되는데, 힘든 시험인 만큼 마라톤식 시험이 되지 않도록 중간에 주말이 끼게 되어있습니다. 이제 막 시작했으니 긴 시험기간을 치룰 학생들에게 파이팅을 전하고 싶네요. 정해진 답만이 존재하는 한국식 수능과 비교되는 다양성을 가진 심오한 질문들... 밑에 나열된 문제가 올해 기출 문제입니다. 이런 질문을 살면서 골똘이 생각해보신 적 있는지요? 내일 동료들과 이 주제들로 신나게 토론을 펼칠 생각에 (전 대부분 뒤에서 듣고 있지만) 기대가 되네요.

2019년도 바깔로레아 출시 문제
자연계
- 문화의 다원성은 인류의 통합에 장애가 되는가?
- 자신의 의무를 인지하는 것은 자유를 포기하는 것인가?
- 프로이트의 <환상의 미래> 텍스트 일부를 읽고 의견을 제시하시오
인문계
- 시간을 초월할 수 있는가?
- 예술 작품을 설명하는 요점은 무엇입니까?
- 헤겔의 <법철학> 텍스트 일부를 읽고 의견을 제시하시오
경제사회계
- 윤리는 정치적 최선의 정책인가?
- 노동은 인간을 분리하는가?
- <데카르트의 원칙>에 대한 라이프니츠의 견해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시오
Comments